목록풍경소리 (山寺) (223)
행복한 여행자의 독백
어느 봄날의 통도사 풍경 통도사 1 지난 4월 27일 통도사 서운암에 들꽃 만나러 가던 날, 서운암 갔다 내려오는 길에 들렀던 통도사. 헤아릴 수 없이 자주 왔던 곳이지만 올 때마다 늘 새롭다. 봄꽃들이 화사하게 피어있던 경내를 평온하게 산책하던 날의 추억이 되었다. 5월이 지나고 6월이..
용두산공원 아래 사찰들의 부처님 오신 날 부처님 오신 날 4 대각사 조선 500년 말, 서양세력의 강화도 침략에 기인한 척양척화 정책으로 수구파가 득세할 때, 개화파는 가까운 일본과 교류를 추진하고 있었다. 1887년, 부산의 바닷가에 유일한 해변 막사가 한 채 있었는데, 일본과 거래를 ..
부산 항구가 내려다 보이는 금수사 부처님 오신 날 3 ...저, 부처님과 호젓하게 대화하고 싶어서 왔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 전야, 해가 막 지고 난 다음, 망향로를 달려 부산의 북항이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 초량 산복도로에 자리잡은 금수사에 들어 섰다. 부처님 오신 날, 전야의 산사에는..
황령산 성암사 부처님 오신 날 부처님 오신 날 2 금련산과 황령산의 연봉들이 북서쪽에 병풍처럼 둘러처져 있고 그 큰 줄기가 뻗쳐나온 자리에 위치한 성암사는 거북이가 알을 낳고 있는 형상을 한 자리로 유명하다. 사찰 뒷산을 보게 되면 거북이의 머리와 등 부분이 뚜렷한 모습을 한 ..
두구동 홍법사의 부처님 오신 날 부처님 오신 날 1 부처님 오신 날, 2013년, 2014년에 이어서 내가 살고 있는 곳에서 동서남북에 위치한 사찰들을 찾아가서 부처님께 인사드리고, 가족들의 안위와 평안을 기도해 왔다. 그것은 간절함에서가 아니라 그렇게 하면 마음이 편안하기 때문이다. 또..
통도사의 봄꽃 피는 숲길 통도사 5 통도사 서운암에 갔다가 통도사로 돌아올 때는 두가지의 길중 하나를 선택하고는 한다. 하나는 높은 고개를 넘어서 서축암, 자장암으로 가는 길과 평탄하게 내리막길을 따라 취운암쪽으로 내려 오는 길. 취운암쪽으로 내려 가는 길은 통도사에 이르는 ..
서운암 금낭화 산책길 통도사 4 나는 서운암 뒷동산, 영축산 기슭을 산책하면, 아름다운 환상속에 깊이 빠진다. 평온하게 느껴지는 산책길의 언덕구비를 돌아서면 금낭화의 세상이 펼쳐진다. 연분홍, 짙은 분홍색 단발머리를 한 하얀얼굴, 하얀 머플러를 가진 아름다운 소녀들의 세상. 하..
서운암 황매화 핀 언덕길 통도사의 봄 2 서운암에서 장경각으로 걸어 오르는 언덕길 양쪽으로 피어있는 죽단화. 겹황매화.... 죽단화. 꽃말은 숭고함. 기다림.. 아름다운 노란 꽃죽단화 언덕길 남쪽 아래로 작은 연못이 있고, 그 연못에는 거위 가족이 산다. 파란 몸, 초록 날개를 가진 공작새 한 마리가 놀러 나온 5월의 어느 날. 연못 곁에 작은 노란 유채꽃밭을 길가에 핀 금낭화를 통해서 본다. 참으로 아름다운 마음을 품은 풍경이다. 눈부시도록 노란 겹황매화와 초록 잎사귀와 숲과 연못. 밝은 노랑 유채꽃밭과 연분홍 금낭화. 하안 거위와 푸른색 공작새 거기다가 검은 날개를 가진 두루미 한 마리가 쉬다가 날아간다. 아마 천국이 있다면 이런 풍경이 아닐까 싶다.
통도사 서운암의 봄 통도사 1 5월이 시작될 무렵이면, 언제나 머리속에 떠올려지는 아련한 풍경이 있다. 영축산과 그 낮은 허리를 감아도는 들꽃 산책길. 노오란 황매화가 늘어선 장경각 오르는 길과 그 내리막길 끝에 우뚝 선 소나무 2그루. 유채꽃과 금낭화가 만나는 남쪽 뜰과 소담스런..
유채꽃과 남지철교가 보이는 능가사 남지 유채꽃 축제 4 낙동강 너머로 끝없이 펼쳐진 노란 유채꽃과 남지 철교가 보이는 사찰 능가사. 아름다운 함안 능가사는 칠성탱이 유명하며, 칠성탱은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위시한 칠성여래(七星如來)와 일광·월광보살 및 칠원성군(七元星君)과 8 권속을 비단 바탕 위에 먹과 채색 안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불화이다. 전체적인 구도는 화면을 크게 양분하여 상단 중앙에는 청연화좌(靑蓮花座)에 결가부좌한 치성광여래를 일광· 월광 두 협시보살과 함께 삼각형의 구도로 배치하고 있다. 협시보살 측면에는 좌우 각각 4구씩 8권속을 묘사하고 있으며, 주존 광배 후면 양 측면에는 6여래를 각각 3위씩 나누어 배치하고 있다. 이 칠성탱은 제작 당시의 화기가 없어 정확한 조성연대를 파악할 수 ..